와가이에 (1) 썸네일형 리스트형 我が国(와가쿠니)에서 の 대신 が를 사용하는 이유! 일본어 が에는 소유격의 뜻도 있다? 최근 일본어를 공부하다가 塞翁が馬(さいおうのうま)라는 표현을 보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고사성어로는 塞翁之馬(새옹지마)라는 고사성어와 일치하는 표현으로, "변방에 살던 노인의 말"이라는 뜻이다. 변방에 살던 노인이 말을 잃어버려서 나쁜 일인가 했더니, 말이 다른 말들을 데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좋은 일인가 싶고, 그 말을 타다가 노인의 아들이 말에서 떨어져 다리를 다쳐서 나쁜 일인가 싶다가도, 전쟁이 나자 다친 다리로 인해 징집에서 제외되어 좋은 일인가 싶기도 한, 인생사에 일희일비하지 말라는 뜻으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이다. 아무튼, 해당 표현에서 왜 塞翁の馬가 아닌 塞翁が馬라고 됐는지 궁금해졌다. 塞翁(변방의 늙은이)의 말이니까 소유를 나타내는 の를 써야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었다. 생각해보면 我が.. 이전 1 다음